여기서 진행한 상상실험의 오토바이, SUV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입니다.
내가 타고있는 차를 A. 오른쪽, 왼쪽 자동차를 각 B, C라고 해봅시다. 당연 전부 통제됩니다.
갑작스런 전방의 장애물이나 작동제어 불능 같은 변수들이 생겼을 경우 A와 B, C는 서로 입장을 공유할 것입니다. 5G의 속도로 말이죠.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간과한 것은 현실적인 제동과 충돌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릴 경우입니다. 100km 속도의 자동차는 평균적으로 5~60m의 제동거리가 필요로합니다. 기차의 경우 3km나 됩니다. 기계는 우리가 상황을 알아차리기도 전에 판단할 것이고 결국 충돌을 결정합니다. 이것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운전자를 지킨다'가 제 1원칙이기 때문이죠.
이럴 경우 B, C중 어떤 차와 충돌하겠습니까? 역시 미리 통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정이겠죠.
당연 B, C또한 이 결과를 공유할 겁니다. B, C에 탑승한 사람은 인지하지 못하겠지만요.
그럼 B, C에 탑승자중 누군가는 사고를 당하게 되는데 그 기준의 척도는 무엇일까요?
돈? 사회적지위? 안전성?
이것이 제가 생각한 의도적 변수에 의한 결정입니다.
다시 결론을 말씀드리면 사고 가능성을 컴퓨터가 사람보다 먼저 인지하더라도 차량간의 거리, 제동에 필요한 거리, 충돌을 하지않고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가지 결론을 빨리 계산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충돌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가정은 모든 자동차가 자율주행과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더라도 말이죠.
여기서 진행한 상상실험의 오토바이, SUV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입니다.
내가 타고있는 차를 A. 오른쪽, 왼쪽 자동차를 각 B, C라고 해봅시다. 당연 전부 통제됩니다.
갑작스런 전방의 장애물이나 작동제어 불능 같은 변수들이 생겼을 경우 A와 B, C는 서로 입장을 공유할 것입니다. 5G의 속도로 말이죠.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간과한 것은 현실적인 제동과 충돌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릴 경우입니다. 100km 속도의 자동차는 평균적으로 5~60m의 제동거리가 필요로합니다. 기차의 경우 3km나 됩니다. 기계는 우리가 상황을 알아차리기도 전에 판단할 것이고 결국 충돌을 결정합니다. 이것이 사전에 프로그램된 '운전자를 지킨다'가 제 1원칙이기 때문이죠.
이럴 경우 B, C중 어떤 차와 충돌하겠습니까? 역시 미리 통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정이겠죠.
당연 B, C또한 이 결과를 공유할 겁니다. B, C에 탑승한 사람은 인지하지 못하겠지만요.
그럼 B, C에 탑승자중 누군가는 사고를 당하게 되는데 그 기준의 척도는 무엇일까요?
돈? 사회적지위? 안전성?
이것이 제가 생각한 의도적 변수에 의한 결정입니다.
다시 결론을 말씀드리면 사고 가능성을 컴퓨터가 사람보다 먼저 인지하더라도 차량간의 거리, 제동에 필요한 거리, 충돌을 하지않고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가지 결론을 빨리 계산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충돌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가정은 모든 자동차가 자율주행과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더라도 말이죠.
자세한 5G의 기술과 Ip, 사물인터넷에 대한 논의는 담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