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記] 참을 '인(忍)' 글자에 대한 단상

in #kr7 years ago (edited)

잡기대문.jpg


예전부터 궁금했다. 참을 인(忍), 이 글자에 왜 칼날인(刃)과 마음 심(心)이 조합되어 참을 인(忍)이 만들어졌을까? 마음을 칼로 난도질한다는? 아니면 칼로 마음을 후벼 판다? 우쨌을까? 도무지 옛 사람들의 생각을 쫓아갈수 없었다. 그런데 지금 나름 합리적인 추리를 해본다. 믿거나 말거나,

心上有刃 君子以含容成德
마음 위에 칼이 있으니 군자는 너그러운 마음으로써 덕을 이룬다
활인심방(活人心方)


첫째 마음위에 칼이 있다는 의미는 항상 살얼음판을 걷는 마음 즉 조마조마함이 있다는 의미이다. 아차하면 고통으로 떨어진다. 신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모두 고통의 연속이다.

일체개고(一切皆苦)
모든 것은 고통이다 우짯을까!



나의 행동 움직임 마음가짐 하나 하나 고통의 씨앗을 묵혀두고 있다. 조건만 갖추어지면 언제든지 발아하는 그 가능성을 말한다. 즐거움도 영원할수 없듯이 마냥 즐거울수만은 없다.

둘째 불교에서는 을 지혜에 비유한다. 번뇌(탐욕, 성냄, 어리석음)의 뿌리를 잘라내는 지혜의 칼을 말한다. 그 지혜는 무엇인가? 바로 삼법인(三法印)의 지혜이다. 1)무상(無常) 모든 것은 변한다. 즐거움도 괴로움도 슬픔도 사회도 강산도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2)고(苦) 무상하기 때문에 고통이다. 3)무아(無我) 우리는 뭔가 있다라는 고정불변의 실체라는 강박에 사로잡혀있다. 그런 것은 없다. 죽어서 변하지 않는 영혼? 그것은 상상할수 없다. 왜냐하면 뭔가 상상한다는 것은 인식한다는 것인데 인식한다는 것은 변화되는 것이다. 변화되지 않는 고정된 것은 결코 절대로 Never Ever인식될수 없다. 우리앞에 나타나는 무언가는 변하기때문에 우리가 알수 있는 것이다. 즉, 인식은 변화를 통해서만 확인된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는 변하지 않는 영혼은 없다. 영혼은 변한다. 그렇기때문에 영혼은 실체가 아닌 무아이다.

이제 이해가 되었다. 고통의 상황이 직면할때 이 지혜(삼법인)의 칼로 샤샤샥! 베어버리자! 들어보았는가? 그 이름은 바로 심검(心劍)! 푸하하하하!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모든 것은 과 같고 허깨비 같고 물거품 같고 그림자 같고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보아야 합니다 -금강경(金剛經)

나는 검선(劍仙)이다. 음하하하하하!


@ohnamu 님 블로그를 통해서, 宇宙戰士 要多 先生

ps. 잠깐만! 忍의 글자가 먼저인가? 불교가 먼저인가? 에라~ 모르겠다. 옛사람들은 아무튼 천재인걸로,


[雜記] 간디가 바라본 무위(無爲)의 삶이란 무엇인가? /부제: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간디가 해설한 바가바드기타
[雜記] 열반, 해탈, 천국에 대한 단상
[雜記] (반말주의)선악과를 따먹었기에 윤회가 시작되었다고 이 멍청아
[雜記]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독서평)
[雜記] 위험하지만 너무나 자극적인 그리고 너무나 호기심 불러일으키는.... 그이름 탄트라(Tantra)
[雜記] 하이Tech 부족시대의 귀환/부제: 거대 중계권력 노므시끼없는 세상을 꿈꾸며(名色교환시대)
[雜記]스티미안의꿈2(STEEMITOPIA) 플랑크톤 생존전략
[雜記] 스티미안의 꿈(STEEMITOPIA)


KakaoTalk_20180311_224441541.jpg


Sort:  

세상의 모든 것은 상일 뿐이고 상은 물질이 아닌데 어떻게 칼로 잘릴까, 생각해보았더니 광선검이 있었군요.

허허... 여기 모인 분들 도인인가요?
양자 입자 물리학에 명리까지 헐..

心劍이지요.^^ 마음을 티벳 밀교에서는 心光明이라고도 하지요.

조마조마한 마음과 지혜의 칼, 불교에는 칼이 지혜에 비유되는 것이었군요.

마음 위의 칼끝을 잘라버리는 방법은 없을까요?

광선검으로 샤샤샥~~~ 고뇌를 샤샤샥~~~

앗! 나무 검선! 우리 결투를, 공격 드감.

(나는 고뇌를 좀더 고급지게) 섀섀쇡!

음하하핫!

칼날이 들어와도 마음을 너그러이 가지는 게 참을인이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새로운 시각 감사합니당

많이 배우고 갑니다.

알것도 같고 모르는것도 같고
아직은 공부가 멀었어요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도낀 개낀입니다요.

고통에 사무친 하루였는데, 심검 먼저 찾아야겠군요. 어디다 뒀더라...

검선이면 검황과 검성 그 위인가요? ㅎㅎ

검선은 말이죠. 음~

장자의 포정과 같지요. 위계가 없어요. 핫빠리도 되고, 검황도 되고, 검성도 되고 죽을 땐 죽고... 生死가 의미없다고나 할까요?

포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어찌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포정은 칼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그러면 천리(天理)를 따라 쇠가죽과 고기, 살과 뼈 사이의 커다란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의 몸이 생긴 그대로 따라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소잡이가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보통 소잡이는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저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며 머뭇거리다가 흐뭇해져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문혜군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다며 감탄했다고 한다.

포정은 얘술까지 하는 극의에 다달았군요.. 아아 이해됐습니다ㅋㅋㅋㅋ

앗~ 칼날이 광선검이었군요. ^^

그 칼은 남이 아닌 스스로에게 가장 많이 작용하는 칼이로군요 아직 제 가슴 속 칼은 무디기 그지 없네요ㅋㅋㅋㅋㅋ큐ㅠㅠ

ㅋ큐ㅠㅠ

이거 표현 기가 막힙니다. 웃다가 울다가~

X구멍에 털난데요.

ps. 혹시 관심있으시면?

[제안] 책읽기 감상평 릴레이 스티미안 모집 /바가바드기타(Bhagavad Gita)

함석헌의 바가바드기타를 도전해보심이?

이글을 보니 '보보경심(步步惊心)'이 떠오르네요. '한 걸음 한 걸음 조심스럽게 걷다'. 조심스럽게 걸으려면 참아야 하니까..

'나는 누구인가? ' 아마 평생 고민해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해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