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박물관#3 [부제:고인돌]

in #kr7 years ago

경기도 박물관 방문기 3편입니다.
경기도지정 1천년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박물관으로 올라가는 길은 제법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습니다.
건물로 들어가기 전에 주변을 먼저 살펴봅니다.

dol.jpg

생각치 못했던 곳에 고인돌이 놓여 있습니다.
파주다율리와 안산의 선부동에서 발견된 것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고 합니다.
누군가의 무덤이었을텐데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기념비처럼 옮겨 다니게 되는 모양입니다.
차라리 모형으로 만들었으면 더 나았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실 '고인돌'에 대해서 처음 들었던 40년 전쯤엔
고인돌이 청동기시대 지배자의 권력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이 강했습니다.
그런데 그후 동일지역에서 수십개씩 무더기로 발견되면서 그 의미가 좀 바뀐거 같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죽음은 삶과 분리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때문에 살아서 같이 생활하던 시간을 기억하고 의미를 부여했을 것이고
무덤은 죽은자에 대한 산자의 마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상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기중기가 없던 시절에 이렇게 큰 돌을 얹어서 무덤을 만드는 것은 개인이 할 수 없습니다.
마을단위 혹은 더 큰 단위의 집단의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야 가능한 일이지요.
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던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증거 입니다.
인구가 증가하고 얼굴을 마주 할 일도 없는 사람과 같은 체제의 일원이 되는
국가시스템이 만들어 지고 난 후에도 마을단위의 공동체 생활은 계속되었지만
자본주의가 발전 하면서는 그나마도 붕괴되고 있는 현실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공동체적 의식이아닌 파편화된 의식에서 고인돌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저 유적에 불과한 것이겠지요.
우리가 뿌리로부터 그만큼 멀어졌다는 이야기도 되겠습니다.
mu1.jpg

고인돌 근처엔 '선돌[=서 있는돌] '이 있습니다.
믿을것이라곤 자연의 힘외에는 없었던 시절에 사람들은 큰것에 의지하고 싶었을것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자연석이나 약간 다듬은 큰 돌을 마을 어귀에 세워놓고
그것에 의지하며 살아갔으리라 생각합니다.
오늘날 큰 교회나 사찰에 의지하며 살아가는 우리와 비슷하지요.
작은 건물보다 큰 건물에 더 믿음이 가는 것은 수천년전의 사람과 별반 다를바 없어 보입니다.

mu4.jpg

다른 한쪽에는 이렇게 성황당을 연출하고 장승을 세워뒀습니다.
장승과 성황당역시 병이나 외부의 침입등 사람이 극복하기 어려운 재앙으로 부터
마을을 지키고 싶은 일념에서 세워놓은 상징물이지요.
어려서 마을에 이런 것들이 세워져 있었습니다.
친구들과 동네를 뛰어다니며 놀기 놓아했지만 성황당은 왠지 무서웠습니다.
오래된 나무에 뭔가 이상해 보이는 천조각이 걸려 있었으니
겁이 많은 소년으로서는 가까이 가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이렇게 가까이 가서 조각된 얼굴을 살펴보고 평가하는 건조한 사람이 되었네요.

mub.jpg

박물관의 외관입니다.
모던한 스타일로 설계된 건축물이네요.
무료라는 점에서 부담없이 다가설 수 있었습니다.

mub1.jpg

어린이 박물관은 옆에 있습니다.
방학이라 그런지 어린이 박물관에서 나오는 사람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제가 방문한 박물관은 마치 휴관이라도 한듯 인적이 드물었습니다.
역시 박물관은 재미 없는 장소인 모양입니다.
보고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엄청나게 준비되어 있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 그런 유물들이야 별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적극 추천합니다.
오래전 쥬얼리상품기획팀을 맡고 있을때에도
디자이너들을 데리고 고궁으로 가서 자유시간을 주고 나중에 토론하는 시간을 갖기도 하고
박물관등에서 영감을 얻으라고 권하곤 했으니까요.
몇개 남지 않은 조각에서 과거사람의 감정을 읽어내는 자신만의 영감을 가질 수 없다면
지금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디자인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mu5.jpg

선생님을 따라서 박물관 견학을 마친 유치원생들이 걸어가고 있습니다.
친구들끼리 야외 나들이를 한 셈이니 시끌시끌 즐겁게 웃으며 걸어갑니다.
저들은 무엇을 느끼고 왔을까요?
각자 편한대로 보고 즐기는 시간이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저 선생님이 학생들의 발걸음을 재촉하지만 말았기를 바랄 뿐입니다.
아이들에게도 눈과 귀는 열려 있으니까 말이죠.

이제 박물관 내부로 들어가서 석기시대부터 인간의 흔적을 추적해야 합니다.
다음 편으로 이어집니다.

Sort:  

Beautiful post,good work,

Like back @neojew :)

바로 옆 어린이 박물관은 몇 번을 갔었는데, 막상 이 곳은 가보질 못했네요,, 구정지나고, 꼭 한번 가봐야 겠습니다.

네오쥬님의 박물관 방문기^^; 다음편을 기대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대부분 선사시대의 물건이니 결국 한반도에 왜이렇게 고인돌이 많은가도 사람들이 해석하기 나름이겠죠. 긍정적으로,부정적으로 볼수도있고 단순히 이동네가 거석신앙이 있었을수도있구요....

영감을 얻기 위한 박물관 투어. 저도 해봐야겠네요. 일상에서 벗어나야 영감은 얻어지나 봐요.

아무래도 도움이 되는거 같습니다.
평안한 저녁시간 보내세요^^

한국에 세계 70% 의 고인돌이 있다네요 ^^

글 잘읽었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많다보니 재밌게잘봤습니다 뉴비가 보팅후 팔로우하고갑니다 감기조심하세요

네오쥬님 고인돌이 한반도에
제일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저렇게 큰돌을 무덤으로 사용한것도
놀랍고 이동수단도 참 궁금합니다
전 고인돌 좋더라고요

그렇군요.
쉽지 않았을 일을 했다는게 놀라울 따름입니다.
돈벌자고 하는 일도 아니었을텐데요.

한국에 유독 고인돌이 많은 이유가 있나봅니다. 가볼만한 박물관이네요

성황당이 정말 어릴땐
왜 무서웠는지 모르겠습니다
시골에 보면 늘 마을 어귀에 꼭 있습니다
낮에도 이상하게 음산하고 무서웠던 것 같습니다 ㅎㅎㅎ
그런 느낌은 다 같군요 ㅎㅎ

예전에 금화마을 옆에서 자취할 때 경기도박물관 여러번 갔었는데 그때랑은 전시물들이 많이 바뀌었네요. ^^ 이렇게 다시보니 새삼 반가웠습니다~

인류의 오래된 역사를 되짚어보면,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것이 신기합니다.

저도 어릴 때 고인돌을 본 적이 있습니다.
포천 내촌면이 지명도 괸돌이라는 곳이 있었고
교과서에서 본 것과 똑같은 고인돌을 볼때의 경이로움은
지금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박물관 나들이도 꽤 좋아하는 편이었는데
그것도 옛 얘기가 되었습니다.

아..그러셨군요.
저는 서울로 일찌감치 전학을 해서 고인돌은 국사책에서 처음 봤습니다.
실물을 본것은 강화도에서 였구요.
그것도 성인이 된 다음이었네요.
우리나라는 왠지 조상의 유적을 상당히 소홀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거의 것은 일단 버리고 보자는 것인지.
박물관에 볼 것이 많더라구요.
좀더 젊어서 눈에 들어 오지 않았던 것들이 눈에 띕니다.
날이 풀리면 다시 방문할 생각입니다^^

저도 고인돌을 본것은 초등학생때였습니다.
책에서 본 것을 직접 보는 신기함과
그보다 훨씬 부피가 크게 다가오던 두려움
지금도 생생합니다.

몇개 남지 않은 조각에서 과거사람의 감정을 읽어내는 자신만의 영감을 가질 수 없다면
지금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디자인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정말 기억에 남을 문구네요. 팔로우하고갑니다! ㅎㅎ

고인돌을 보니 초등학교 시절이 생각이 마니 나는거 같아요 ㅎ
고인돌 진짜 처음 봤을때 어떻게 저런 큰돌을 가지고 저렇게 지을수 있을까 라는 호기심으로 가득 찼엇는데 저는 지금도 믿어지지가 않아욯
팔로우 하고 가겠습니다. 맞팔 부탁 드릴게요 ㅎ

저도 장승 비슷한걸 보면서
왜그토록 껄끄러웠는지...
그때 당시의 심정을 지금도 이해하기 힘들더군요..

누군가에는 그저 그런 유물이겠지만
님에게는 느끼시는 심정이 많으신걸보면

감성이 살아있음을 느낍니다.

잘 보고 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