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참 많이 변했다. 과거에는 신용레버리지가 없었다 즉, 만 원 벌면 만원만 쓸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 은행은 100만원이 있으면 8만원만 금고에 넣어두고 92만원을 빌려줄 수 있고 또 그 92만원을 빌린 금융기관은 8만원만 남기고 나머지 84만원을 누구에겐가 빌려줄 수 있다. 100만원이 이런식으로 엄청난 금액으로 불어난다. 분명 종이로 발행된 돈은 100만원이지만 시장에 도는 금액은 어마어마하게 커진다.
이런 세상은 인구가 늘어나지 않아도 경제는 성장한다. 돈이 늘어나서 그렇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 100만원 어치의 금을 갖고 있으면 그만큼만 종이 돈을 찍어낼 수 있어서, 경제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산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야 했다. 다시 말해 그 당시에는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경제 성장이 이뤄졌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어린 아이들마저 노동에 뛰어들 수 밖에 없었다.
중세와 근현대 소설에는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 시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에서도 초등학교 들어갈 정도 나이만 되면 아이들이 몸종이나 조수, 혹은 단순노동의 일자리로 팔려가는 장면이 나온다. 어린아이들 까지도 경제활동에 뛰어들어야만 경제가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사람의 수가 경제 성장이라는 공식이 성립되던 시기다. 물론 지금도 일부 저개발 국가에서는 어린아이들마저 경제 활동에 뛰어들고 착취당하는 곳이 있다. 커피콩을 따고, 돌맹이 속에서 금이나 다이아몬드를 속아내는 그런 아이들. 이런 지역의 공통점은 금융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못한 곳이다. 즉, 신용 시스템이 부실한 곳에서는 현대에 들어서도 여전히 사람의 수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시 돌아가서, 과거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인구가 늘어나야 했다. 하지만 인구가 늘어나는 속도는 빠를 수가 없다. 그래서 어린 아이들까지 동원해 생산을 하려고 해도, 결국은 성장의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그러면 당시 왕과 군주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그렇다. 인구를 늘리는 가장 빠른 방법은 다른 나라를 침략하는 것이다. 그 나라를 지배해 그 인구가 생산을 하면, 경제는 급격하게 성장한다. 당연히 이런 방안을 머리 속에 떠올리게 된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생산이 농산물과 축산물(농사짓고 소 키우고 말 키워서 팔아야 하니)이었기 때문에, 땅은 공장이고 인구는 근로자고 제품은 농산물이었다. 많이 생산하려면 많은 땅과 많은 사람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에는 전쟁이 잦았다.
그러나 이제는 신용을 이용할 수 있다. 신용을 이용하면, 공장에서 실제 제품 생산을 늘리지 않아도, 근로자들의 소득이 늘지 않아도 대출을 받아 집도 살 수 있고, 차도 살 수 있고, 조금 비싼 물건은 카드 할부로 살 수 있다. 실제 국민 소득이 늘어나지 않아도 소비가 늘어나고 부동산 가격은 올라간다. 참 다행인 것은 전쟁이 줄었다. 성장을 위해 다른 국가를 침략할 필요성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Congratulations @mtnmarketman!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ngratulations @mtnmarketman!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