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al voyage of discovery consists not in seeking new landscapes but in having new eyes." (Marcel Proust)안녕하세요. @kangsukin 입니다.
우리 사회는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매일매일 새로운 사건, 사고 발생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행동의 동기
, 남녀의 급여
, 성별 격차
의 발생 원인을 실험을 통해 살펴봅시다.
동의 하시나요?
[어떻게 하면 내가 원하는 대로 타인을 행동하게 만들까?]
-인센티브
는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님, 역효과를 일으키기도 함
-10분이상 늦게 도착한 부모에게 3달러의 벌금
을 물림
-지각에 따른 벌금이 3달러에 불과했으므로 앞으로 더 오래 맡겨도 괜찮겠다고 생각
-벌금을 부과함으로써 아이들을 늦게 데리러 오는 행위의 의미
가 바뀜
-벌금을 부과하는 조치는 죄책감을 느끼게 만드는 방법보다 훨씬 효과가 떨어짐
-현금은 만능이 아님
, 사람들이 진정으로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을 토대로 보상하는 편이 효과적
-예를 들면, 돈에 대한 유인책보다는 선량한 시민이라는 자아상
을 주는 방법
[여성의 급여가 남성보다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
-테니스공을 양동이 안에 넣는 실험(연습우위나 성별우위가 없는)
-공을 양동이에 넣는데 성공하면 상금을 받는방식, 나머지 하나는 타인과 경쟁
하여 상금을 받는방식 결과는 남성은 50%, 여성은 26%가 경쟁방식을 선택
함(남녀간의 차이가 있음)
-직업의 적임자 선택
시 이러한 성향을 파악
하면 효과적임
-많은 고용담당자들은 직관과 관례
(과거 상사가 시도했던 방식)에 근거하거나 시대착오적 사고
로 인해 남자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사회적 구조가 편성되어 있음
[성별 격차를 좁히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모계사회, 카시족 실험을 통해 위와 동일한 공던지기 실험을 실시 함
-실험 결과는 반대로 비경쟁방식을 선택한 남자, 경쟁방식을 선택한 여자
(성별이 아닌 문화의 영향)
-54%여성, 39%남성이 경쟁을 선택, 결론은 양육이 지대한 영향을 미침
, 선천적으로 경쟁적이라는 진화론만이 경쟁심 정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아님(문화적 인센티브로 바꿀 수 있음)
-환경과 사회화는 사람들의 행동방식을 나타내는 도구
이며, 공공재에 여성이 많은 관심을 기울임
-여성
이 남의 비웃음을 사지나 않을까 걱정하지 않고, 스스로 경제력
을 쥐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표현
할 수 있다면 경제적 인센티브에 반응하는 방법을 배워 상당한 경제적 이익
을 누릴 수 있고, 지도자
도 가능
-여성은 채용규칙이 불분명한 구인광고를 회피, 고용주는 남녀를 막론하고 직무와 급여, 보상 등을 상세히 밝혀야 함
Photo by Jeffrey Lin on Unsplash
무엇이 행동하게 하는가?(타인의 행동, 급여, 성별격차) (1/4)
무엇이 행동하게 하는가?(공부, 빈부격차, 차별) (2/4)
무엇이 행동하게 하는가?(개인보호, 기부금) (3/4)
무엇이 행동하게 하는가?(멸종위기의 기업, 결론) (4/4)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능적으로 행동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알고 보면 대체로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결과일 때가 많은 거 같아요.
재미있는 실험에 대해 잘 봤습니다.^^
문화와 환경의 영향이 참 크지요
읽어주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