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동안 눈으로만 보다가 용기내어 가입해보았습니다. :)
스팀잇에 글을 쓰는 것은 처음이지만, 무언가 시작하기 전에 이것 저것 찾아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서 스팀잇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한 뒤 시작하고 싶었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니 앞서 나가신 여러분께서 많이 가르쳐주시고, 이끌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 스팀잇에서 배우고, 공감하고, 나누는 스티미언이 되겠습니다.
글을 쓰고 보상을 받는다는 것은 분명 메리트있는 것이지만, 그냥 이런 공간에서 누군가와 생각을 나눌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스팀잇을 통해 얻는 수익은 가급적 스팀잇을 위해 사용하여 KR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누구냐 넌 @essai
올해로 21살, 책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책을 좋아하게 된 계기를 돌이켜보면.. 어릴 때 집에 놀아줄 사람이 없어서 누님, 형이 남기고 간 책장에 꽂힌 책들과 자연스레 친해졌던 것 같네요.(제 위로 12살, 8살 차이나는 누님, 형이 계십니다. 저는 귀염둥이 막둥이~ 하핫ㅎ;)
스팀잇에는 제가 좋아하는 책에 대한 이야기들, 좋아하는 글귀들 그리고 제가 살아가는 이야기, 경험, 관심거리를 주제 삼아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좋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해서 사진에 담긴 사연과 함께 글도 써보아야 겠네요. 개인적으로 여태껏 찍었던 벚꽃 사진 중에 제일 잘 찍었다고 생각합니다! :)
퇴근 길에 지쳐 너덜너덜 걸어가다, 눈 앞에 벚꽃 잎이 떨어져 위를 올려다봤을 때(찰칵) .jpg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의 꾸준한 포스팅을 응원합니다.
@essai 님 스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스팀잇에서 재미있는 글 많이 써주세요! 감사합니다 ^^
환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도록 노력해볼게요ㅋㅋ자주 봬요
스팀잇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자주 뵈었으면 좋겠네용
넹~! 앞으로 존재감 있는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ㅎ (자신감 철철)
반갑습니다 @essai님!
책을 좋아하시는군요
책을 좋아하신다면 분명 좋은 글을 쓰실 수 있을겁니다
스팀잇에는 책 좋아하는 분들이 많거든요! ㅎㅎ
잘 부탁드리며 팔로우 하고 갑니다 : )
사진능력은 저보다 훨씬 뛰어나신데여ㅋㅋ?
스티미언이 되신것을 추하드립니다!~^^
![KakaoTalk_20180131_145745388.gif](https://images.hive.blog/0x0/https://steemitimages.com/DQmZyfZAXD4qM5cSrd2wMwdpc4aKj1erDTsRzaiBvRLThyK/KakaoTalk_20180131_145745388.gif)
앞으로 소통하며 잘 지내용!~
짱짱맨 파이팅!~
반갑습니다! 뉴비끼리 잘해보아요!
환영합니다. 앞으로 자주 뵈어요 ^^
스팀잇 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을 링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뉴비를 위한 책 :이지 스팀잇
스팀잇개념에 대한 가장 적절한 포스팅(이솔님 작성)
스팀잇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선무님작성)
스팀페스트로 알아보는 스팀,스팀잇의 현재( 마 님 작성)
뉴비님들께 꼭 들려 드리고 싶은 이야기(asbear 님 작성)
스팀잇에서 댓글 달 때 생각해 보아야 할 것들(asbear 님 작성)
뉴비가 읽으면 유익한 스티머의 글(1)
(제멋대로 엮은) 스팀잇 이용에 필요한 기본 가이드(2017.08.11)update
https://steemit.com/guide/@woo7739/2017-08-11-update
(제멋대로 엮은) 스팀잇 포스팅에 있어 필요한 기능(2017.10.05)update
https://steemit.com/guide/@woo7739/2017-10-05-update
뉴비시라면 기본적으로 포스팅하실때 태그에 kr과 kr-newbie 는 달아주시고
1.28일 태그 목록 정리 .
이 포스팅을 참조하여 적절한 태그를 넣어주세요. 그래야 사람들에게 노출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꼭 글많은 태그가 노출이 많은건 아니지만 그래도 적절한 태그사용은 도움이 됩니다.
(kr-join 태그는 맨 처음 가입시 사용하는 태그로
에 등록이 되며 가입하실시 한번만 사용해주시는게 좋습니다.강제는 아니지만 태그위주로 분류되는 요즘은 자기소개도 아닌데 조인 태그를 계속 사용하면 아마 사람들이 싫어할수도 있으니까요. ) https://steemit.com/created/kr-join
글을 쓰고 나면 보상이 일주일 뒤에 들어오다보니 그때까지는 스팀달러가 없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살짝 느껴보시라고 0.2달라 보내드립니다.
0.1달러는
스팀달러를 전송해보자
위 링크를 참고해서 girina79 님께 0.1달라를 보내보세요. 현재 보육원 아이들을 후원하고 계십니다 .
세 명의 아이를 후원합니다. 보팅으로 아이들을 지원해주세요.( 보육원에 들어온 3명의 아기천사 )
다른 0.1달라는
스팀달러를 스팀파워로 바꿔보자
이걸 따라해 보세요. 어느정도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 소액으로 미리 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원래 스팀달러 가치는 1달러정도(1100원 정도) 였지만 요즘처럼 천원을 꽤 넘을 경우에는
스티밋 메뉴 항목 활용하기 (환전/송금)
위 포스팅 내용과 댓글을 참조하여 바꾸시면 이익을 극대화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