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의 다음 행보와 스팀이 나아가야 할 길

in #kr7 years ago (edited)

암호화폐의 침체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내 암호화폐 거래 인정과 산업분류 기준 발표 계획과 ICO 허용 루머와 같은 긍정적인 분위기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다행스럽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낀 암호화폐에 대한 정부기관측의 변화는 "블록체인"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쓰고 있다는 점입니다. 불과 1, 2년 전만 하더라도 블록체인이라는 표현을 쓰면 그게 뭐냐고 하거나 사기 아니냐는 반응이 주였는데 이제는 관료사회 내부에까지 블록체인이라는 개념이 익숙해졌다는 방증입니다. 이런 내부적인 인식 변화는 암호화폐 관련 정책결정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부기관이 이 정도이니 기업은 말할 여지도 없습니다. 수십 수백 개의 블록체인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고, 수많은 리버스ReverseICO (기존 기업이 서비스의 일부 혹은 전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면서 진행하는 ICO)들이 준비중입니다. 아마 기업들 그리고 벤처캐피탈(VC)들이 블록체인에 들어오기 위한 준비는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단 하나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암호화폐에 대한 회계처리입니다.

암호화폐가 회계처리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기업이 암호화폐를 사도 세금이나 기타 제도적인 부분들에 있어서 커대란 불확실성을 안고 갈 수 밖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작은 스타트업 수준의 기업이야 그 정도의 위험은 감수할 수 있겠지만,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중견기업 이상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감안하면서까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도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기에 아무리 많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더라도 암호회폐에 대한 회계처리 부분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실제로 들어오는 자산은 미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ICO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도 잘 드러나 있습니다.

ICO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은 ICO에서 모집되는 코인이나 토큰을 어떻게 법적으로 정의하느냐의 문제와 직결됨

가상통화에 대한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는 것이 ICO의 선결과제가 될 것이며,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ICO로 인해 창출되는 토큰을 별도의 증권으로 특정지어 ICO를 기존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 형태로 포섭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임

서두에 말씀드린 ICO 허용 루머로 다시 돌아가보죠. 만약 이번에 나온 ICO 허용 루머가 사실이라면 그 말은 단순히 ICO가 큰 문제 없어보이니 일단 대충이나마 허용해보자 정도가 아닙니다. 정부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수준 이르른 상태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ICO 허용이라는 얘기는 곧 그 선결과제인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성격이 제도화될만큼 확립되었다는 의미입니다. 곧 기존 기업들이 합법적으로 암호화폐를 보유(ICO를 통해서든 매수를 통해서든)할 수 있다는 의미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암호화폐의 본격적인 부흥기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스팀이 가야할 길은 무엇일까요? 아마도 기존 기업들 중 많은 곳들이 스팀과 경쟁하기 위해서 유사한 체인을 만들 가능성이 있고, 아마 스팀 코드 자체를 복제하는 아류작도 나올 것입니다. 이 때 스팀이 가질 수 있는 한 가지 경쟁력은 커뮤니티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개발진과 토큰 이코노미를 깊히 경험하고 그 장단을 다 알고 있는 기존 이용자들이죠. 하지만 이것은 경쟁력의 기반일 뿐입니다.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접목함으로써 법정화폐 시스템에서 스팀의 토큰 이코노미 시스템으로 돈을 끌어오는 수로를 뚫어줄 여러 서비스가 실제적인 경쟁력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다행히도 스팀은 이런 부분을 위한 각종 개발(스팀커넥트나 확장성 있는 API 등)이 잘 갖춰져있고 더 잘 갖춰지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테이스팀이나 스팀헌트 같은 서비스도 나오고 있고요. 제가 알기로 이러한 서비스들은 외부 자금을 끌어올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한 서비스들이 수십 개 이상 나와준다면 스팀은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주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사용자 확충, 즉 가입 문제입니다. 이 부분은 고팍스와 오버노드 등이 스팀잇 측과 협력하며 진행중인 것으로 압니다. 국내에서 스팀을 이용하는 사람(봇이나 부계정 제외)이 100만명을 넘어선다면 스팀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지난번 증인 보고서에서 엑셀러레이션을 지원하는 쪽으로 스파임대를 집중하겠다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관련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계획을 말씀드리자면 비즈니스를 시작하시기 위해 스파임대가 필요한 스타트업 분들이 계시다면 clayop@clayop.com 으로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존 개인 큐레이터 분들에게 드렸던 스파 임대는 점차적으로 회수할 계획입니다. 이것 외에도 스팀을 위한 공간이나 인큐베이션 등 여러 계획을 진행하고 있는데 때가 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ort:  

고생이 많으시네요~
고인물은 썩는다라는 말이 있죠
신규 유저의 진입 장벽은 비단 가입만의 문제가 아닙니다.그간 문제 상황을 지켜보고.. 조금의 해결책을

최근 개발한 일부 글을 보팅해야 보여주는 시스템을 개발한 보팅페이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 분에게 팀을 꾸려 주어, 디자인 개선, 홍보, 손쉬운 작동이 가능하면, 아주 혁신이 될 것 같습니다

저의 글:https://steemit.com/busy/@abcteacher/voteview

보팅 페이 글:https://steemit.com/kr/@wonsama/voteview-nono

제가 예전에 쓴 글이 구현될 것을 보고 반가웠습니다 ^^ (참조:일석이스팀: 비즈니스 모델과 잊혀질 권리를 한번에 잡는 법)

여기에 글의 정합성을 위해 암호화된 글과 함께 글에 대한 sha 해시를 병기해도 좋을 것 같고요. 컨텐츠 불펌에 대한 부분도 고민이 필요하겠네요.

clayop@clayop.com 메일주소 실화입니까.

ㅋㅋㅋㅋㅋ잊을래야 잊을수가 없겠군요

실화임당 ㅋㅋ

스팀잇에 대해 좋은 방향성 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국내 스팀잇 가입자가 백만명이 넘을 수 있도록 스팀잇 가입절차가 지금보다 훨씬 간단해 졌으면 합니다.

항상 kr커뮤를 위해서 열일하시는 클레욥님 응원드립니다~

시의적절한 포스팅 고마워요 클레옵님 ^^

메일 주소가..ㅋㅋㅋㅋ

요즘 스팀이 여러모로 침체기라서 우울했는데 클레욥님 글 보니까 좀 안심이 됩니다. 고팍스가 스팀잇 측과 협력해서 사용자 확충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는건 처음 알았습니다. 잘돼서 사용자가 많이 늘었으면 좋겠네요!!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계신만큼 스팀잇이 정치적인, 기술적인 여러 난관을 뚫고 부족함은 채워가길 바랍니다. 많은 이들의 꿈을 싣고 떠가는 거대한 함선으로, 스팀잇이 계속 건재하길 바랍니다. ^^

SMT를 통해 기업 단위로 많이 스팀잇에 유입되었으면 좋겠어요

가격 다운으로 많이 지쳐있는데 이 글을 보니 조금의 위로가 되네요 ㅎㅎ

저도 기대하는 부분입니다. 비IT 기업 입장에서 SMT가 최고의 선택지가 되도록 하는게 포인트일듯 하네요.

ICO의 허용이 단순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투자를 받고 이를 더 발전시킬 기회를 인정하는 것이지요!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글 부탁드리고 자주 소통해요 ㅎㅎㅎ 팔로우 및 보팅하고갑니다

기대합니다.^^

스팀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하려면 증인님의 말씀처럼 테이스팀이나 스팀헌트와 같은 서비스도 계속 나와야 하고, 사용자 확충을 위해 불편한 가입문제도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도 스팀의 발전을 위한 공간이나 인큐베이션도 강화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김삿갓이 열렬히 응원하겠습니다.

어느 분의 보고서에서 보니 여전히 스팀잇의 활동 저자가 500명이 안된다는 얘기를 보며 많이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 어떤 방향이든 재미난 프로젝트가 스팀잇에 활력을 불러 일으키면 좋겠습니다.
메일함이 터질것 같은.ㅋㅋㅋ

스팀잇에는 멋있는 분들이 정말 많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

항상 수고가 많으심에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신비한 메일주소가 ㅋㅋㅋㅋㅋㅋㅋ 스팀잇 커뮤니티가 더 열심히 커져서 모두가 행복해지는 스팀잇 활동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사용자의 자리에서, 개발자의 자리에서, 비즈니스 메이커의 자리에서 그리고 서포터의 자리에서 각자 롤이 명확히 그어져있고 누구와 누구를 연결해서 어떤 생태계를 확장해야하는지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같이 타이밍 맞춰서 일사분란하게 전진! 하는게 쉬운게 아니니까요.ㅎㅎ
메일함에 요청이 가득가득 넘쳐나시기를 응원하겠습니다!

좋은글감사합니다ㅎㅎㅎㅎㅎ
팔로우하고가요 자주 소통해요

안녕하세요 @clayop
메일 보냈습니다!

아직까지 한계가 있어 보이긴 하지만, clayop님 말씀과 같이 커뮤니티의 안정화는 강력한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스타트업 준비하시는 분이 계시는데요, 아직 손을 안 드신 같으니 제가 추천해드립니다. @aaronhong이라는 분인데 최근 스팀커피 웹사이트를 준비중이십니다. www.steemcoffee.co이고요. 관련 내용은,
https://steemit.com/kr/@aaronhong/5m3lf6-steem-coffee
입니다. 늘 스팀잇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애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마 애런님이 곧 메일을 드릴수도 있겠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trips.teem입니다.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진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 정리해서 메일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스타트업 업태 제한이라던지 세부적인 제한이 있을까요?

현재와 미래를 같이 보는 지혜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려분 부분도 있습니다.

어려분 -> 어려운(?)

kr커뮤니티를 예전이나 지금이나 신경써주고 있다는건
글을 통해서 잘 알겠네요..

잘 보고 갑니다.

현재 단순한 스팀파워 임대의 메커니즘만으로는 생태계 확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정보 생산자와 이를 돈을 내고 지불하는 소비자가 생태계의 유통과 플랫폼 생존의 핵심인데, 현재 스팀의 경우 공급자의 비율이 과하게 높습니다. 즉, 괜찮은 글을 써서 돈을 벌어보고자 하는 사람만 있다는 얘기지요. 이러한 유통 구조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 스팀파워인데, 이것 마저도 셀프보팅으로 그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질 좋은 정보 생산 뿐 아니라 검색 알고리즘, 인터페이스 등 아직은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은 것 같네요. 정보 소비자(구매자) 유치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고민을 담아야 할 것같습니다.

 7 years ago (edited) Reveal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