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rmdown ('아름다운') 철학자입니다. 관련된 글을 먼저 읽은 다음에 읽으시면 좋겠네요.
연구자가 균형감각을 견지하려는 게 옳은 걸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어떤 사상가를 연구하는 까닭은 우선은 그로부터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흥미로운 생각을 많이 제공할수록 특정 사상가의 크기가 규정된다. 사상 영역에서의 자연선택이라 하겠다. 인간에게는 그런 사상가들의 풀이 있고, 흔히 고전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고전의 풀에 흘러든 사상가들은 수적으로 많은데, 그렇다면 그들 사이에 어떤 위계를 매길 수 있을까? 한 사상가가 다른 사상가보다 뛰어나다는 식의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이런 물음에서 이른바 '균형감각'이라는 좋지 않은 해법이 출현하는 것 같다.
한 연구자가 균형감각을 갖는다는 것은 어떤 전제를 깔고 있다. 먼저 연구자가 고전의 풀에 잠기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는 전제. 그래야만 각각의 사상가를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비교'하고 '저울에 놓는' 일이 가능할 테니까. 그런데 이런 전제는 애초에 적절하게 성립하기 어려운데, 학생 시절에야 각각의 사상가를 충실하게 이해하는 훈련이 꼭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 최대한 충실하게 각 사상가를 따라가고 따라잡아야 했겠지만, 이제 고전의 풀을 개관한 후 자기만의 관점을 지닌 연구자가 된 입장에서 여전히 학생 같은 자세를 견지하는 것은 미숙함의 발로로밖엔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연구자가 자기만의 저울로 고전의 풀을 재고 그 결과 특정 사상가에게 강한 부정이나 진심어린 친화를 표출하는 것이 오히려 미숙함의 징표로 여겨지곤 한다. 이른바 '균형감각'이 없다는 거다.
하지만 이런 평가에는 취향에 대한 몰취미가 깔려 있다. 평가란 본래 편파적일 수밖에 없고, 평가한다는 건 자신의 실존을 건다는 뜻이다. 미학적 의미에서 취향 또는 취미가 중요한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취향에 따른 판단은 본래 보편성을 가질 수 없다. 사람마다 입맛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편성과는 다른 취향의 등급이라는 게 엄존하며, 고만고만한 입맛을 능가하는 어떤 맛과 그 맛에 대한 느낌은 강력하다. 자기가 선호하는 맛들에 대한 선호와 목록이 없다면 과연 존중할 만한 사람일까? 하물며 연구자일진대! 맛에서 균형감각을 견지한다는 건, 모든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 한다는 걸 뜻한다.
물론 참조하는 사상가가 사안별로 달라질 수도 있고 모든 면에서 완벽한 한 명의 사상가란 없다는 데도 동의한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건 사상가 집단의 결이다. 도무지 한 자리에 함께 놓기 힘든 사상가들이 있을 때, 연구자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 옳을까? 상반되는 두 사상가 중간에서 같은 높이로 서 있으면 되는 걸까? 그런 중간 위치와 높이라는 게 과연 있는 걸까?
의미와 가치가 비판의 준거라는 니체와 들뢰즈의 선언은 참으로 미학적이다. 하지만 이들은 먼저 의미와 가치의 개념마저 비판적으로 갱신했다. 나는 훨씬 젊었을 때부터 이 길에서 매력을 느꼈으며, 그렇기 때문에 균형감각을 가질래야 가질 수 없었다.
철학에 관심이 있으시면, 스팀잇 사랑 3종세트, '팔로', '보팅', '리스팀'하시면서 인연을 유지해요.
출근 후 읽는 첫 글입니다.
좋은 아침!
답이 늦었네요.
좋은 주말 되세요^^
오늘 하루도 힘찬 금요일 되세요^^
답이 늦었네요.
고된 금요일 마치고,,,
좋은 주말 되세요.
연구자 입장에서는 한가지에 몰두 하게 되니
다른걸 처다보기 힘들지 않을까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일정 한도 내에서는 그렇긴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지 않는 데 대한 핑계가 될 순 없다고 봅니다.
다 둘러본 후에 자기 입장을 정하는 건 별개의 문제일 테고요.
howsmate님이 armdown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howsmate님의 이주의 Howsmate 아티클 큐레이션 - 4월 첫 번째 주
같은 의미로 한국 모든 언론이 내걸고 있는 중립과 객관 공정이라는 캐치프에이즈가 얼마나 허망한건지 좀 웃기기조차 합니다 ㅎㅎ
지극히 당파적이고 편향성에 쩌든 기사들을 쓰면서 말입니다 ㅎ
난 김박사님 처럼 나의 편향과 당파성을 당당히 까고 제대로 된 편향과 당파성에 입각한 기사를 쓰는게 훨 당당하지 않겠나 싶어요
외국 언론은 당당하게 정파성을 밝히면서도
사실관계를 왜곡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데 말이지요.
균형따위는 필요없다는 입장입니다.
안철수의 "극중"이라는 말처럼 어이없는 말도 없었죠.
중립이라는 것은 "동적" 상태에서만
성립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앞으로 전진하고 있는 상태에게
자전거의 핸들을 가운데로 놓고 제어하는 것
결국 사상가의 사상 역시
"진보"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진보하는 경우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죠.
너무 글이 짧아서 제가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한 듯 한데
저는 "진리"가 존재한다는 입장입니다.
그 진리와의 비교에서 사상은 검증되어야 하겠죠.
무엇이 진리인가는 참 어렵기는 한데
저는 물리적, 과학적 접근이
철학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주저리 주저리 말이 많네요..죄송합니다.
좋은 의견 고맙습니다. 늘 경청하게 됩니다.
중립이란 허상이죠.
역사학자 하워드 진의 책 제목처럼 '달리는 열차 위에 중립은 없다'지요.
늘 균형을 잡아가려는 끊임없는 운동이 있을 뿐이지요.
그런 점에서 '진보'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는 건 바람직하다고 보고, 동의합니다.
'진리' 문제와 관련시켜 보면,
그 개념은 과학과 철학에서 서로 다르게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과학에서는 수학적으로 검증 가능한 내용이 많은 반면,
철학에서는 언어를 쓰기 때문에 합의에 이르기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과학이 진리에 대체로 수렴되는 길을 간다면,
반대로 철학은 진리 주장만 난무하고, 검증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결국 과학과 철학에서 '진리'는 동음이의어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지칭하는 바가 다르다는 것이지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더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철학에 대해 모종의 연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