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궐의 건축방식이 도입된 절이라서 그런지 대웅전에 들어가기 위해 들어가는 문도 색다르다. 먼저 앞에 석물이 문 입구 좌우측에 서 있다. 아무래도 해태같은 생각이든다. 광화문에 가면 해태가 양쪽에 서 있는데 마치 그런 느낌이 난다. 물론 크기는 광화문의 해태와 비교할 수 없이 작다. 그나마 많이 닳아서 그냥 보면 무슨 동물인지 알아보기 어렵다. 인상적인 해태의 얼굴이 매우 해학적으로 묘사되었다는 것이다.
해태를 지나면 솟을 대문이 있다. 아주 전형적인 유교적 출입문이다. 솟을 대분의 앞에 있는 주춧돌과 기둥도 전혀 불교적인 분위기는 나지 않았다. 재미있는 것은 주춧돌에 새겨져 있는 문양이다. 큰 원에 작은 원이 있는 것을 보면 조계종을 표시하는 것 같다. 그런데 조계종에 그런 문양이 정해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야 조계종 문양이 정해진 것을 생각해보면 주춧돌에 문양을 새긴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인 듯 하다. 모를일이다.
혹시 조선시대에도 그런 문양이 있었는지. 어쨓든 문양을 새긴 것이 비교적 최근의 일이라면 왜 그렇게 새겼는지가 궁금하다.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유교적인 분위기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조계종 문양을 새겨 넣었다고 할 수 밖에 없겠다.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솟을 대문을 지나, 대웅전 앞의 강당을 향했다. 강당은 원래 불교건축에서 매우 중요한 건물이다. 그런데 그 주춧돌 기둥도 마치 궁궐의 기둥 같았다. 정조 대왕이 불교 사찰을 세웠지만 성리학자들은 그냥 고분고분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유교의 영향도 여기까지 였다. 강당을 지나면 그 이후에는 그야말로 불교의 세계였다.
수원 용주사가 유교와 불교의 건축양식이 혼합되어 있다고 하지만 그것은 혼합되어 있다고 하기 보다는 그냥 분리되어서 각각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옳은 것 같다. 홍살문에서 솟을 대문 그리고 강당까지는 유교의 세계가 장악하고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불교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것이다.
그 묘한 조화와 대비를 보면서 절안으로 들어갔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문림 II
좋은 키보드 찾다 찾다 직접 만든 키보드
나중에 학생들과 투어하는 프로그램도 좋을 거 같아요. 너희 생각은 어떠니?
@bbanghona @been2 @bellanurse @bominit @blissfulnurse @cdh @caresn @chunji @crystallinelake @dana722 @ddanddan @delight55 @domisol @dongrirn @ekdrmsdl23 @friendlynurse @goodandfaith @jh10090 @jyh971229 @happyidea @heevvd @hein971 @hyun200000 @hyun22222 @hyunzzang0217 @kimgiyoun @memirror @moon56 @niceham @nurse1004 @nursesorang @nursemook @nurse-neul @nurseeeee @onestar-snrn @ranji00 @rini97 @ryeol @samrn @sinyounhaw @sj0148 @ssunurse @ssovely @jh10090 @trspe377 @usertang @wkdwngm @wisdomjin @wngusals96 @yesterday2 @yeoning @young11
Posted using Partiko iOS
좋을꺼같아요!ㅎㅎ 가끔씩 투어하면서 힐링하는것도 젛습니다~😆
Posted using Partiko iOS
저는 대찬성입니다!! 재밌을 거 같아요 😊
Posted using Partiko iOS
보면 볼수록 깊은 멋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 석물이 해태였군요
저 솟을 대문은 정말 절답지 않네요 ㅎㅎ 오늘도 잘 봤습니다.
유교시대를 살아야했던 불교의 모습 아닐까요... 한편
규율을 땨르면서도 마음에 부처님을 모시는^^
이제 아이도 좀 컸고 두루 다녀봐야겠어요. ^^
해태의 모습이 정말 귀엽네요. 스담스담 해주고 싶습니다 ^^
불교와 유교의 불협화음을 절을 지으시는 분들은 조화롭게 완성해 내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