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비트코인은 과연 국가 주도의 가상화폐와 경쟁할 수 있을까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viktortsoi3.jpg

  1. 본문에서 전반적으로 미국의 상황과 예시를 사용했으나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에도 적용하기에 크게 무리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2. 본문에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가상화폐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3. 본문에서 가상화폐와 암호화폐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4. 편의상 경어는 생략하겠습니다.

서론

yellen.jpg
[이번달 12일 연방준비은행 (연준)의 옐런 회장의 국회 청문회에서 갑작스럽게 Buy Bitcoin 사인을 치켜들어 가상화폐 커뮤니티에서 스타로 떠오른 익명의 사나이. 투명성과 무결성이 보장되는 비트코인과 “나는 연준 감사에 대해 심히 반대한다” 는 옐런의 한마디로 대변될 수 있는 중앙은행의 폐쇄성과 비투명성, 비신뢰성이 사뭇 대비되면서 근미래에 다가올 비트코인과 기축통화의 본격적인 대결을 예고하는 명짤이 탄생되었다.]

제 6차 비트코인 버블이 터지는가 싶더니 근 한달 반만에 다시 전고점을 되찾아 가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본격적으로 언론에서 투자사례가 보도되기 시작하면서 과연 가상화폐가 튤립인지 미래에도 계속 생존가능한 가치를 지녔는지에 대해 논쟁이 뜨겁다.

비트코인으로 인해 세상에 나온 블록체인 기술은 제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은 가까운 미래에 국가 주도 하에 등장할 가상화폐와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몇가지 정리해보자.

  1. 화폐 (currency) 와 돈 (money) 은 다르다. 이 둘을 결정짓는 제일 큰 차이는 바로 “가치의 보전” 의 가능여부에 있다. 이 둘은 재화와의 교환, 휴대성, 장기보관, 나누기 (divisibility), 대체성 (fungibility) 이란 특성을 다 공유한다. 하지만 돈은 가치의 보전이 가능하지만 화폐는 그것이 보장되지 않는다.
  2. 현재 거의 모든 국가들의 화폐 (기축통화) 는 화폐이지 돈이 아니다. 인플레이션 화폐로서 시간이 갈수록 가치를 상실함으로서 가치의 보전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3. 비트코인은 가치 보전이 가능한 “돈” 으로서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가치가 하락하지 않고 오히려 오르는 특성을 가진 “예금 계좌” 이다. 물론 “돈” 이기 때문에 “화폐”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론

  1. 국가에서 능동적으로 가상화폐를 발행할 확률은 과연 얼마나 되는가

이 점은 확실한 대답이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현재의 가상화폐 시장 시가총액은 약 110 조원으로서 애플 시가총액의 ⅛ , 삼성전자 시총의 ⅓ 정도로서 그 규모가 아직은 대단치 않다는 점에서 정부차원에서 비트코인을 위시한 가상화폐에 대한 대응책으로 능동적으로 중앙은행 주도하에 가상화폐를 발행할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굉장히 어렵다. 반면 블록체인이 제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온전히 화폐기능만을 수행하는 비트코인/라이트코인 류의 가상화폐 보다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시한 이더리움 류의 기술을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육성하려는 시도가 눈에 띄고 있다.

putin.png
[지난달 상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 금융포럼에서 푸틴은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뷰테린과 만나 블록체인의 미래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다시 말하면 현 상황에서 각국의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에는 굉장히 호의적인 반면 가상화폐 자체에 대해서는 과세를 통한 규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가상화폐 판매소인 Coinbase 에서 과세목적으로 고객정보를 요구한 미국세청 (IRS) 과 ICO (initial coin offering) 규제를 준비중이라는 SEC (Securities and Exchanges Commision) 의 행보에서 엿볼수 있다. 이는 크게 놀랍지 않다. 전통적으로 정부는 혁신과는 거리가 멀뿐만 아니라 규제와 통제로 인해 오히려 혁신과 발전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21세기에 들어와 실리콘밸리에서 이루어진 놀라운 기술혁신은 이른바 페이퍼 벨트 (입법과 규제의 워싱턴 DC, 영화/음악산업의 LA, 월가와 언론의 뉴욕, 교육의 보스턴) 로 대변되는 기존 기득세력을 등에 업은 미 정부와 번번히 부딪힌 바 있다. 세계 각국의 정부는 가상화폐의 문제에 있어서도 규제를 통해 기존 이권을 보호하려는 시도를 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balaji.jpg
[실리콘밸리의 전설적 벤처 케피털리스트인 Balaji Srinivasan 은 일찌감치 2013년 스타트업 스쿨 토크를 통해 미 정부와 기술혁신의 대립관계를 꼬집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실리콘밸리의 탈미국화와 테크노-유토피안 이상향 실현의 가능성에 대해 역설한 바 있다. https://goo.gl/ZabL8M]

  1. 중앙은행 주도의 가상화폐는 진짜 가상화폐인가?

규제와 통제로 대변되는 정부의 특성상 가상화폐의 부상에 정부/중앙은행이 가상화폐를 직접 발행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확률은 상당히 낮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한다고 가정할때에 그것이 진정한 블록체인 가상화폐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블록체인이 종래의 기록 보관방식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크게 네가지이다. 비잔틴 장애 문제가 없고, 이중지출문제가 없고, 해킹이 아주 어려우며, 거래내역의 무결성이 보장된다. 이 네가지 특성이 가능하고, 따라서 블록체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장부는 거래내역을 검증해주는 메커니즘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블록체인 기술의 현 단계에서 쓰이는 검증방식은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비트코인으로 대변되는 작업증명 (Proof of Work) 과 곧 이더리움에서 채택될 지분증명 (Proof of Stake) 이 그것이다. 전자는 마이너들의 무지막지한 해쉬파워를 내세워 51% 해킹이 사실상 불가능 (조단위의 비용이 들어간다) 한 반면 네트워크 유지에 어마어마한 전기비용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친환경적이고 네트워크 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는 반면 현단계에서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고 메커니즘의 특성상 부의 편중을 가속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앙은행 주도의 가상화폐는 이 둘중 어느것도 사용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작업증명방식으로 가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고 (비트코인 마이너들의 해쉬파워의 일부만 전환해도 해킹이 가능하다) 지분증명은 시스템 레벨에서 부의 편중을 용인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중앙은행 가상화폐의 거래내역 검증방식은 오히려 중앙은행이 지정하는 validator node 가 거래내역을 참이라고 인증하는 방식으로 갈 확률이 높다. 그리고 그 validator node 들은 화폐를 사용하는 유저가 아니라 정부인증 기관이나 은행이 될 확률이 높다. 그 이유는 중앙은행이 물가조절을 위해 수행하는 통화량 조절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검증 주체인 “중앙은행” 이 지정한 validator 들을 신용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따라서 진정한 “블록체인” 이라고 부를 수 없게 된다. 암호학적 메커니즘으로 검증주체를 대신해 신용주체가 없고 장부에 장난질이 허용되지 않아 가치보전이 보장되는 비트코인과는 달리 중앙은행을 전적으로 신뢰해야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코인이 생성되고 교환되는 과정 자체가 완전 무결하게 유지되는 블록체인 화폐의 장점이 사라지는 것이다.

정리하면 중앙은행 주도에 발행되는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가상화폐라고 부를 수 없다.
왜냐하면 근본적으로 중앙은행이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부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인데 이는 장부수정의 원천봉쇄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가상화폐와 전면으로 대비되기 때문이다.

  1. 중앙은행과 정부가 블록체인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동기가 있는가?

앞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화폐가 될수 없음을 설명했다. 그래도 정부와 중앙은행이 가상화폐를 발행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과연 정부와 중앙은행은 투명성과 장부무결성이 보장되는 블록체인 가상화폐를 발행할 동기가 있을까?

기존 화폐가 시장에 유통되는 경로, 즉 화폐 (종이가 되었건 엑셀 시트에 숫자가 되었건) 가 탄생하고 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정부는 재무부에 채권을 발행 (정부는 빚을 짐)
B. 재무부는 채권을 은행에 팔고
C. 은행은 중앙은행 (연준) 에 채권을 팔고
D. 연준은 채권에 대한 값으로 무에서 화폐를 생성해 은행에 지급하고
E. 은행은 재무부에 채권에 대한 값으로 연준에서 받은 화폐를 지급하고
F. 재무부는 이 화폐를 정부예산으로 정부에 지급하고
G. 이렇게 세상에 나온 돈은 은행의 지급준비율 메커니즘을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불려지고
H. 시민들은 국세청에 소득세를 납부하고
I. 국세청은 이 돈을 재무부에 납부하고
J. 재무부는 다시 연준에 정부에서 발행한 채권을 산 값으로 채권의 값 + 이자를 더해 다시 돌려주고
K. 이 과정이 무한히 반복된다.

이러한 기존 기축통화의 탄생과 유통방식은 화폐가 생성되어 돌 때마다 은행이 이윤을 얻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에 민중은 피해를 본다). 자세히 말하면 은행은 연준에 채권을 팔때의 이윤, 연준의 준비액 (reserve) 에서 나오는 이익, 그리고 연준의 배당금을 통해 이윤을 얻는다. 최근 양적완화와 더불어 인플레이션의 가속화가 되는 점까지 고려하면 은행으로 대변되는 기득권으로의 부의 편중은 더 심화된다.

money creation.jpg
[과정이 말도 못하게 복잡한 이유는 그래야 민중을 속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연 연준, 즉 연준을 구성하는 사립 은행들이 가상화폐를 만들 동기가 있느냐는 질문은 자신들의 막대한 부의 축적을 가능케 하는 기존 화폐발행 시스템을 자발적으로 버리거나 제한할 동기가 있냐는 질문과 같다고 볼수 있다.

과연 연준이 거래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장부조작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가상화폐를 만들어 US 디지털 달러라는 이름을 붙여 시중에 유통할 동기가 있을까? 제 4차 혁명을 이끌어가는건 블록체인이라서? 그게 세상의 흐름이라서? 비트코인에 대해 대항해야 하기 때문에? 당신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있는데 자발적으로 그 배를 가르겠는가?

그것보다는 은행들이 직접 대량으로 비트코인을 구입해 소유하는게 훨씬 더 이득이지 않을까?

  1. 그래도… 그래도… 국가 주도의 가상화폐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앞서 국가/중앙은행 주도의 가상화폐가 나올 확률은 지극히 적으며 나온다 하더라도 블록체인 화폐가 될수 없고 중앙은행이 그럴 동기는 더더욱 없음을 설명했다. 하지만 그래도 세상 일은 모르지 않는가? 억지로라도 국가 주도의 가상화폐가 탄생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해 보자.

A. 세계 금융위기를 촉발할 블랙 스완 이벤트의 발생

2008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는 베일아웃을 통해 800 조원 가량 되는 미국민의 혈세를 통해 은행이 줄줄히 도산하는걸 막아 머니 서플라이가 공중분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일단락 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의 양적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일본, 호주, 캐나다, 러시아, 인도, 중국 또한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고 있다.

fredgraph.png
[작금의 통화 공급량은 정상의 범주를 넘어도 한참 넘어간 상태이다]

미국은 2008년의 세계 금융 위기로 부터 배운것이 아무것도 없다. 부동산/주식시장 버블은 해소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위기의 스케일은 2008년보다 배로 더 커진 상태이다. 내일이냐 내년이냐 5년 뒤냐의 문제일뿐 세계경제위기가 예상치 못한 블랙 스완 이벤트를 통해 촉발될 확률은 그 어느때보다도 높다. 이 경우 세계기축통화로서의 달러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면서 미국이 그간 해외로 수출한 달러들과 채권들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게 된다. 미 정부는 채권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예산삭감과 경제둔화는 물론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가능성과 마주하게 된다.

B. 이번에는 베일아웃은 없다.
2008년 은행들은 베일아웃을 통해 구조되었으나 다음번 세계금융위기에서 그럴 일은 없을 것이다. 이미 미국인이라면 좌파/우파를 가리지 않고 자신들의 혈세로 정치인들이 은행을 구제했던 그때의 억울한 경험을 잊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베일아웃을 지지하는 스탠스는 정치적 자살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정부와 중앙은행은 은행들이 줄도산하게 놔둘 확률이 높다.

C. 중앙은행의 재기발랄함
은행이 줄줄이 도산하면 머니 서플라이가 사라지면서 진정한 헬게이트가 열릴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앙은행이 꾀를 낸다. 은행은 줄줄이 도산하게 놔두되 도산하는 은행의 장부를 복사해 예금자들의 구좌에 있는 잔고 (숫자) 를 고스란히 중앙은행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겨놓는 것이다. 은행이 없는데 어떻게 돈을 인출해서 쓸수 있냐고 묻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오늘날 중국처럼 지폐와 동전 사용률은 없애는 방향으로 가고 대신 위챗과 닮은 앱을 사용하게 만들면 된다.

이렇게 되서 정부/중앙은행이 꾀할 수 있는 이득은 여러가지다.

  1. 예금자들의 잔고가 사라지지 않음으로 인해 경제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다.
  2. 지폐/동전을 없앤다 (많은 국가들이 블랙머니를 없앨 목적으로 지폐를 없애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올해 인도 정부는 자국의 500/1000 루피를 예고도 없이 불법화하여 큰 사회적 혼란을 일으킨 바 있다).
  3. 세금 징수의 편의성 (사립 은행이 아니라 중앙은행에 예금되어 있는 금액이기에 국세청이 세금 징수하기에 더없이 용이하다).

D. 데이터베이스화 된 화폐 vs. 비트코인 (블록체인 가상화폐)
이렇게 생성된 디지털 화폐, 즉, 블록체인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화 된 화폐야 말로 정부와 중앙은행에 더없이 어울리는 화폐이다. 중앙은행의 발권력과 통화량조절이 유지되며 (장부조작가능) 거래내역 검증이 불필요 하며 덤으로 장부는 유저가 아니라 권한이 있는 몇몇에게만 공개되며 정부가 원할 시에 즉시 세금징수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방식의 화폐는 장부조작 자체가 불가능하고 전체 유저들의 동의 없이는 코드변경자체가 불가능하기에 중앙은행 개입의 가능성이 원천봉쇄되는 블록체인 가상화폐보다 훨씬 더 매력적인 화폐이다.

이렇게 근미래에 화폐는 두가지로 나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상에 존재하는 기축통화와 비트코인을 위시한 블록체인 가상화폐. 하지만 서론에 기술했듯 기축통화는 가치의 보전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화폐”의 단계에 머무르는 반면 블록체인 가상화폐는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돈” 의 대우를 받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기축통화는 변동성이 적어 일상생활에서의 재화/서비스 거래의 매개로 쓰이게 되는 반면 블록체인 가상화폐는 한정된 수량으로 인해 수요만 보장된다면 값이 올라가는 태생적 특성으로 인해 “예금 계좌”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기축통화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그것은 비트코인 가격에 즉각 긍정적으로 반영되게 된다. 따라서 비트코인은 중앙은행의 무분별한 통화량 증가를 감시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될 것이다.

결론

  1. 중앙은행과 정부는 규제를 통해 가상화폐를 통제하지 국가주도의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기존 가상화폐를 통제하지는 않을 것이다.
  2. 중앙은행은 기존 통화발행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로서 블록체인 가상화폐를 발행할 동기나 이유가 없다.
  3. 중앙은행은 그 특성상 통제가 불가능한 가상화폐보다는 그것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화 화폐를 추구할 것이다.
  4. 미래에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기축통화와 블록체인 가상화폐가 각각 화폐와 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공존하게 될 것이다.
  5. 블록체인 가상화폐는 중앙은행의 무분별한 발권력 행사를 감시하는 역할 또한 맡게 될 것이다.
Sort:  

좋은 글 감사합니다.
기술적으로 충분히 성숙한 화폐가 기초통화가 된다면 (현 비코코인의 위치)
그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지금도 대장으로써의 역활을 수행하고 있으나 블록체인 1.0이기 때문에 세그윗, 포크, 수수료 등의 이슈에 직면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죠.
저는 빨리 차세대 코인에(다른 부가기능 없이 통화로써의 역할에 충실할) 그 자리를 넘겨주면 블록체인 마켓이 더 안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글 주제인 국가 주도 코인과의 경쟁에 있어서는 달러, 유로 위치의 통화가 나온다면.. 제가 위에 쓴 그 역할을 하게 되고 비트는 서서히 죽게 될 가능성이 높겠죠. (비슷한 것으로 현재는 테더가 있으나 이것은 불확실성으로 탈락이니)
다만 국가가 과연 현 화폐 체계의 이점을 포기하고 블록체인으로 올것이냐.. 는 의문입니다.
맘대로 찍어낼 수 없고 (물론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기타 블록체인의 특성을 고려할때 은행이 손에 쥔 부를 다른 이들에게 나누어 줘야 유지가 가능할테니 말이죠.

저는 비트코인은 스케일링 문제만 해결된다면 앞으로의 가상화폐 생태계 내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그 어떤 코인도 비트코인만한 상징성과 탈중앙화를 뛰어넘을 수 없지요.

기술적으로 나은 코인이라고 해서 좋은 코인이라고 볼수는 없습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겪고 있는 스케일링 문제는 다른 코인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이더리움의 경우는 비트코인의 배로 해결이 더 어려운 문제입니다).

어떤 이유로든 비트코인이 실패한다면 그건 암호화폐가 가치의 보전의 매개가 되고자 하는 시도가 실패한다는 뜻과 같습니다. 비트코인이 실패하면 그 어떤 차세대 코인이 도전한다고 해도 성공할 확률이 훨씬 더 희박합니다.

@kripotortsoi 최근 본 분석글중 단연 으뜸이라고 말할수있겠습니다. 저도 두번째 결론 "중앙은행은 기존 통화발행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로서 블록체인 가상화폐를 발행할 동기나 이유가 없다." 에 동감하는바입니다. 결국 central bank 는 감시의 영역으로 들어갈뿐이죠

과찬의 말씀이십니다 ㅎㅎ 고맙습니다.
은행들은 화폐 생산 과정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으로도 이득을 보지요.
불공평한 시스템인데 비트코인의 등장에 더 의미를 더 부여해 주는 점이지요.

흥미로운 글이었습니다. 보팅으로 보답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이런 정성스러운 분석글 너무나 좋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중앙정부가 발행하는것은 가상화폐라기 보다 전자화폐의 성격이 강하지 않을까 합니다. 실물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보장 받지만 경제활동에 직접참여 하게 됨으로서 보상이 이루어지고 화폐 발행비용을 포함한 발권과 유지비용 만큼 전자화폐 보유자에게 보상을 가도록 설계되는 브라이빗블럭체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국가도 상당수 있는것 같고 로스차일드나 록펠러 모건등이 연합한 단일 화폐 방향도 리플의 백그라운드 예기처럼 계속 입에 오르내리는군요
좋은 포스팅 잘봤습니다

네 맞습니다. 블록체인 암호화폐가 아니라 단순한 데이터베이스 화폐 (디지털 화폐) 인거죠.
현재 이미 은행들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innovation gap 도 없고 장부 임의 수정이 가능하니까요.

그런가요? 흥미로운데 혹시 국가주도 가상화폐 개발에 관한 정보 있으면 링크 부탁드립니다.

제가 고민하던부분을 통쾌하게 풀어주셨네요..감사합니다.

영광입니다 ^^

상당히 공감이 가면서도 한 편으로는 이해가 안되는 영역이 있는데요,
어느나라의 중앙정부가 시장의 규제를 통해서만 가상화폐시장을 통제하려고 할까요? 중앙정부는 그들의 권력을 유지하기에 불리하다 싶으면 가상화폐 시장을 일정 부분에서만 유통되도록 막아버리고 하지, 가상화폐의 시장과 규모가 확대되는 것을 가만히 보고만 있을까요?

그게 비트코인이 가진 장점이 발휘되는 부분이지요.
탈중앙화 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화폐를 위법화 한다고 해도 인터넷 연결만 되면 쓸수가 있습니다.

미국정도의 법률시스템을 가진 나라에서 단순히 랜섬웨어나 마약유통에 비트코인이 사용된다는 이유를 들어 비트코인 위법화를 주장한다고 해서 그게 받아들여질거 같지는 않으나...

만약 위법화가 된다고 해도 비트코인 어답션이 늦어지고 중단기적으로 가격에 타격을 입는다는거지 비트코인을 뿌리뽑을 수는 없습니다.

또 미/중/러시아 중 어느 하나라도 공개적으로 비트코인 사용을 탄압하면 나머지 국가들에서 더 적극적으로 비트코인을 받아들일 확률이 높아지겠지요. 이 세 나라가 협력해서 가상화폐를 전면금지시킨다는 시나리오는 더더욱 생각하기 어렵겠구요.

긴글 감사합니다. 정보또한 충분히 생각해볼 가치가 있어 보팅하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ㅎㅎ

기존 화폐와 가상화폐의 본질에 대한 좋은 분석글 잘 읽었습니다.
리스팀해갑니다..

고맙습니다.

몇 가지 용어가 흥미롭군요^^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상당한 분석이네요

과찬이십니다.

결론부분 5가지 모두 공감이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보팅및팔로우할게요.

감사드립니다. 올려주시는 분석들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재미있군요. 저의 예상엔 5년후 정도면 가시적인 테두리가 나올거 같아요.
그때가면 블록체인기술이 현실세계에 스며들어 있겠죠.

네 미래가 많이 기다려집니다.
지금 상상하는 미래와 얼마나 비슷하고 또 얼마나 다를지...

감사합니다.
비트코인이 '돈'의 대우를 받는 시기와 중앙은행이 전자화폐화 하는 시기가 맞물렸을 때를 머릿속에 그려보고 갑니다.

네 정부의 특성상 innovation gap 이 요구되는 기술을 도입해 가상화폐에 대결할 확률은 아주 적어 보입니다.
데이트베이스화폐야 말로 중앙은행에 딱 맞는 형태의 화폐이지요.
블록체인이라는 멋진 단어로 구세기의 유물을 치장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대박 글이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잘 읽었습니다. 흥미롭고요.

근데, 저도 위 어느 분의 궁금증과 비슷한 부분은 이 글에서는 풀리지 않습니다. 즉, 암호화화폐에 대한 정부의 대응 중에 암호화화폐 자체에 대한 규제(유통을 못하게 하거나 시장에서 일정 규모 이상 확대되지 못하게 하거나)할 가능성은 없는가 하는 점입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위에 댓글을 참조해 주십시요.

너무나도 훌륭한 글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이해가 쏙쏙되네요
늦지않게 이세계로 들어온거같네요
인생전환점의 기회로 삼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정보 공유 부탁드려요
성투기원합니다

네 지나친 욕심 부리지 않고 비트코인이 제시하는 비전과 이상향을 믿고 장기간 투자하시면 그 어떤 asset 보다 성공적인 투자를 하실 수 있으실 거라 예상합니다.

대단한 분석글 잘 봤습니다. 리스팀으로 보답을 ^^

영광입니다.

깊은 분석이 돋보이는 글 감사합니다 :)

감사드립니다 ㅎㅎ

기축통화와 가상화폐의 공존이라... 인플레이션의 지표라... 미친글 하나 보고갑니다. 좋은 글이란 뜻입니다.

Congratulations @kriptortsoi! You have received a personal award!

1 Year on Steemit
Click on the badge to view your Board of Honor.

Do not miss the last announcement from @steemitboard!

Do you like SteemitBoard's project? Then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kriptortsoi!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