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횡설수설 포스팅] 구텐베르크, 갈릴레이, 그리고 사토시 (Gutenberg, Galilei, and Satoshi)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지난 횡설수설 다시보기
[스티밋 횡설수설 포스팅] 패스팅어의 실험(Festinger's Test)

1.jpg
사회는 천재를 원한다. 하지만, 정말로 천재가 나타나면, 사회는 그 천재를 제거하려고 한다. 현재가 익숙한 사람들에게 천재는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15세기 중반, 구텐베르크가 활판인쇄 기술을 만들었지만, 사회에서 즉시 받아들이진 않았다. 여러 권의 사본을 만들 것이라면, 필사가가 더 빠르다. 라는 논지와 하나의 서적을 몇백 권씩이나 대량 인쇄할 필요도 없었다.

990520132257ptolematic_universe-l.gif
천재성은 종종 이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가 천제를 관측하며, 얻은 지식으로 지동설을 주장했을때, 사회는 그들을 배제 하고 공격했다.

가상화폐.png

하지만, 지금 우리들은 과거의 사례들을 보며 웃을 수만은 없다. 편안함과 익숙함에 갇혀, 혁신이나 지성을 배척하는 건 지금도 반복되고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의 변화에는 빛과 어둠이 있다. 인류 역사상 기술이 가장 빠른 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Sort: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면, 그뿐일 것입니다.
위험을 감수한다면 크게 잃거나 크게 얻을 것입니다.
과거엔 이 말이 옳았지만, 지금 이 시대에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뒤처지게 되는군요.
끊임없이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구텐베르크는 사실 동쪽 먼 나라에서 건너온 기술을 따라 해봤을 뿐이라는 설도 있죠. EBS 다큐에서 본 것 같아요. ^^

조용히 숟가락 얹기...ㅎㅎ

좋은 예시인거 같아요. 천재한테 부족한게 (모든 천재가 그런건 아니지만) 사회성이죠. 군중심리 이런거랑 상관없이 놀고요.. 21세기는 좀 달랐으면 좋겠어요. 천재가 만들어 놓은걸 기존세력이 빨리 받아들일수 있게 만들어주는 사회성의 천재들이 중간에서 브릿지역할을 해준다면 너무 멋진 그림이 나올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글 잘 봤습니다.